• toc {:toc}

Drawing Figure

Ubuntu 환경에서 LibreOffice의 Draw를 활용해 코인 자동매매 프로젝트의 구조를 그려봤다.

코인 자동매매 프로젝트는 팀원들이 세운 전략 구현 및 실시간 구동을 통한 매매를 통해 수익 실현을 하는 프로젝트이다. Python과 CCXT Library를 통해 거래소 Biance와 통신을 진행했다.

  1. 계좌, Binance 시장의 ohlcv(Open, High, Low, Close, Volume) 정보를 요청해 CCXT, Binance를 통해 정보를 전달 받는다.
  2. 계좌 정보를 통해 현재 나의 포지션 상태(진입한 포지션, 포지션의 방향)를 확인한다.
  3. Ohlcv 정보를 이용해 각 전략에 대해 진입, 청산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4. 조건이 만족한다면 주문 명령을 하고 주문 정보를 받아온다.
  5. 매매 기록에 대한 안정성 검사를 실시한다.
  6. 시장 상황 및 전략 진행을 시각화한다.

image

Review

다른 Drawing tool을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LibreOffice Draw에도 기본적인 평면, 3차원 도형들이 제공되었다. 벡터 그래픽, 개체 연결 관계 표시, 차원 표시 등 여러 기능들이 있으나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더 필요할 것 같다.

LibreOffice Draw를 사용해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그리는 것이 그리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실제로 구조도를 그려보니 얼마나, 어떻게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할 것인가에 대한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모호했다. 나름대로 block diagram은 세부적인 정보를 설명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수적인 구성으로만 구조도를 표현했다.

막상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전체적인 구조없이 세부적인 파트의 구성만을 계획하고 진행했었는데 이렇게 block diagram을 그려 전체적인 구조를 확인해보니 확실히 프로젝트 진행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도구들을 활용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니니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전체적인 틀을 잡고 진행해나가도록 시도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