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c {:toc}

Notice

Computer Networks 글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전중환 교수님의 [진화와 인간 본성 GED1119]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21.1 경관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들

  • 특정 풍경 안에 물, 동물, 꽃, 높낮이 등 어떤 내용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미적 판단도 달라지는 현상 왜 그럴까?

  • 경관에 선호도를 높이는 8가지 내용적 요소

    • 물 : 인간에게 필수적 요소 애착, 집착 진화 물 첨가시 선호도 매우 증
    • 큰 나무
    • 초점
    • 반쯤 열린 공간
    • 지표면의 높낮이 변화
    • 가려지지 않은 지평선
    • 식물의 생장
    • 적당한 복잡성
  • 진화적인 관점에서 8가지 요소는 모두 아프리카 사바나 초원 중 살기 좋은 장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이다.

  • 사람들은 인공적인 경관보다 자연적인 경관을 더 선호한다.

  • 도시의 풍경 + 나무, 연못 등 자연적 요소 미적 판단 상승

  • 하지만 사람들이 무조건적으로 자연경관을 더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ex. 자연 재해) 때문에 인위적인 통제, 간섭이 가해진 흔적이 보이는 자연을 더 선호한다.

    • 잔디가 짧게 깎인 정원 > 잔디, 잡초가 뒤엉킨 야생 벌판

인간의 번식력을 높이는 내용적 요소들은 경관의 선호도를 높인다.

  • 경관에 대한 정서적 변화는 단순한 심리적 변화가 아닌, 행동을 초래한다.

    • 건강, 신체적, 정신적 발달, 사회적 행동에 영향
  • 동물에 대한 선호

    • 포식동물 위협을 피해 생존하기 위해
    • 초식동물 식사가 되는 사냥감을 잡아 생존하기 위해
  • 꽃에 대한 선호

    • 꽃이 향후 몇 주, 몇 달 내에 유용한 자원을 얻을 수 있음을 알려주는 단서가 되기 때문
    • 추후 과일, 견과 등 음식물이 생길 것을 알려주는 신호가 꽃이라는 가설
    • 꽃에 대한 선호는 완벽히 검증된 가설은 아니다.

Summary (자연의 미)

  • 아름다움 : 사바나 초원을 배회했던 잡식성 영장류의 적합도를 증가시킨 요소
  • 아름다움은 미적 판단을 담당하는 심리적 적응이 진화적 과거에 적합도를 높여준 외부의 환경적 자극을 처리할 때 선사하는 일종의 보상이다.

21.2 왜 귀여운가?

  • 아기 도식 : 사람들이 어떤 대상을 상냥하게 돌보는 행동을 촉발하는 핵심 자극

  • 귀엽다 : 대상이 아기의 전형적인 특성을 일부 가지고 있기에 아기 도식에 따라 상냥스럽게 대상을 돌보는 행동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 인간 아기를 접하면 아기를 정성스럽게 돌보는 심리적 적응이 진화했다.

    • 아기는 내 유전자를 전달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 내 친자식이 아닌 여러 다른 대상에 귀여움을 느끼는 이유

    • 온 가족이 자식을 함께 돌보도록 진화했기 때문 내 친자식이 아니더라도 조카, 손녀 등일 가능성이 있기에 상냥함을 느끼는 문턱이 매우 낮아지도록 진화했다.
  • 다른 유인원의 아기보다 인간의 아기는 독특하다.

    • 인간의 아기 : 무기력, 미숙, 돌봄이 많이 요구되는 존재
    • 왜? : 다른 유인원의 아기보다 뱃속에서 세상으로 일찍 꺼내어지기 때문이다.
    • 인간 두뇌가 커지도록 진화했으나, 직립보행을 하다 보니 좁은 산도를 나오기 위해 일찍 출산이 된다.
    • 때문에 미숙아의 상태에서 세상에 나오게 된다.
  • 아기가 어른이 되기까지 부모는 아기를 먹이고 보호하도록 진화했다. 아기는 ‘귀엽다’고 여겨지는 신호를 내 보살핌을 얻어낸다.(감각의 함정)

    • 감각 함정의 부합하는 사실
      • 인간 아기의 운동 능력은 떨어진다.
      • 그러나, 감각과 인지 능력은 대단히 뛰어나다.

아기는 자신의 무력함을 알리는 감각 신호를 부모에게 보내고, 신호를 통해 부모에게 상냥함이라는 정서를 촉발해 ‘귀여움’을 느끼고 보살피도록 만든다.

21.3 아기 도식

  • 아기 도식에 해당하는 특징
  1. 인간 아기는 어른보다 신체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유난히 높다. 인간 아기는 어른을 축소 복사한 모습이 아니다. 유인원 새끼들과 비교하면 침팬지 새끼는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어른과 비슷하다.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사람을 귀엽다고 여기도록 진화하여 라이언, 브라운과 같이 귀여운 캐릭터들은 머리의 비율이 높다.

  2. 인간 아기는 이마가 앞으로 튀어나왔고, 이마가 얼굴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높다. 눈도 얼굴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아기의 감각, 인지 능력은 발달되어 두뇌는 큰 상태로 태어나 아기의 이마가 돌출되고, 두 눈은 얼굴 하단에 자리 잡는다.

  3. 인간 아기는 토실한 뺨, 부드럽고 늘어지는 피부, 통통한 몸을 지닌다. 갓 태어난 아기는 높은 지방 조직을 갖는다. 풍부한 지방 덕분에 신생아는 일주일을 굶어도 혈당량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4. 인간 아기의 눈은 아래쪽에 위치하고 모두 정면을 향해 나 있다. 영장류 아기들의 공통점이다. 사물을 입체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물체를 두 눈으로 보고, 두 눈으로 보기 위해 정면으로 나 있다.

  5. 크고 둥근 두 귀를 갖는다.

  6. 인간 아기는 운동 신경이 미발달되어 몸동작이 굼뜨고 서투르다. 아장아장, 뒤뚱뒤뚱 걷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7. 짦은 팔다리를 갖는다.

다음의 특징과 같이 아기 도식의 속성을 더 많이, 더 과장되게 지닐 수록 귀엽게 여긴다.

  • 왜 사람들은 다른 대상도 아기를 닮으면 귀엽다 느낄까?

  • 자식을 돌보는 비용이 크기에 나의 유전적 친자식이 확실한 경우에만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 인간에서는 함께 아기를 돌보는 확대가족 형태가 진화했다.
    • 아이를 키우는데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온 가족의 도움이 필요했다.
    • 때문에 내 친자식이 아니더라도 혈연으로 이어진 아기를 돌봄으로써 번식 성공도를 높일 수 있었고, 돌보는 유전자가 진화했을 것이다.
  • 하지만, 별개로 오늘날 현대인들이 다른 포유동물의 새끼, 애니메이션 캐릭터에게 애정을 쏟는 행동은 과거 심리적 적응이 현대의 낯선 환경에서 오작동하는 경우이다.

Summary

  • 귀여움 : 자신의 무력함을 알리는 아기의 전형적인 특성들을 우리가 귀엽다고 여기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다.
  • 아기를 접하면 상냥한 정서로 인해 아이를 보살피도록 하는 심리적 적응이 자연 선택되었다.
  • 조상들은 온 가족의 구성원들이 아기를 함께 돌보는 확대가족을 이루어 진화하 우리가 귀여움을 지각하는 문턱이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