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c {:toc}

Notice

Computer Networks 글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전중환 교수님의 [진화와 인간 본성 GED1119]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1.1 알렉산더의 간접 상호성 이론

  • 간접 상호성 : 상대방이 미래에 내 도움을 돌려줄 가능성이 없을 때도 도와주는 것

  • 세월호 사고가 일어났을 때 생업을 제쳐 두고 팽목항으로 달려가서 헌신적으로 일한 자원봉사자의 경우 직접 상호성으로 생각할 수 없다.

  • 직접 상호성은 두 개체가 반복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돕는 자와 받는 자의 역할이 변경될 것을 선결 조건으로 설정하나, 실제로 협력의 상당 부분은 비대칭적이며 일회적이다.

  • 착한 사마리아인

    • 강도를 만나 심하게 폭행당한 어느 유대인을 사마리아인은 여관으로 옮겨 먹여주고 돌보아 준 후 먼저 길을 떠난다.
  • 왜 내 도움을 갚을 수 없을 때도 상대방을 도울까?

  • 평판 : 누군가 어떤 특질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타인의 믿음

  • 평판을 통해 모든 영역에서 누군가를 평가할 수 있다.

  • 평판은 내가 실제로 그 특질을 지녔는지와는 상관없이 남의 마음속에만 있는 것이다.

  • 평판은 왜 중요한가?

  • 누군가 상호작용하기 전에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어느 정도 안다면 나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에 평판을 통해 정보를 미리 얻는 것은 아주 효율적인 전략이다.

  •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들도 이런 식으로 누군가를 만나기 전에 그 개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얻는다.

  • 협력과 배신이 오가는 사회적 관계에서 좋은 파트너는 남을 기꺼이 잘 도와주는 사람이다.

  • 때문에 잘 도와주는 사람을 파트너로 더 선호하고 그 사람에게 먼저 다가가 그 사람과 자신과의 상호 협력 관계를 시작하려 할 것이다.

리처드 알렉산더의 간접 상호성 이론

  • 비친족 간의 협력이 진화하기 위해 반드시 내가 도왔던 상대방으로부터 같은 종류의 도움을 그대로 돌려받을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 내가 누군가를 돕는 것을 보거나 들은 제삼자가 나를 도와줘도 협력은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비친족간 대규모 협력은 직접 상호성이 아닌 평판에 기반한 간접 상호성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 즉, 간접 상호성은 평판에 근거하며, 그 결과 집단 내의 모든 사람들은 계속 남들에 의해 평가되고 또 평가된다.

  • 직접 상호성에서 내가 너를 도와줄지 여부는 과거에 상대방이 나를 도와줬는지에 달려 있다.

  • 간접 상호성에서는 좋은 평판을 갖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 직접 상호성은 두 사람 간의 반복적 상호작용을 전제하나, 파트너는 바뀔 수 있고, 다자간의 상호작용이 언제나 가능했고 평판을 통해 제삼자들과 함께 상호 협력할 파트너로 선택받는 것이다.

  • 데이비드 헤이그 - 직접 상호성에는 얼굴이 필요하다. 간접 상호성에서는 이름이 필요하다.

  • 돕는 행위에 대한 내용이 모든 사람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사람들에게만 관찰된다.

  • 관찰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입소문을 통해 그 상호작용을 알려주고, 그 결과 평판이 좌우된다.

  • 때문에 평판이 업데이트되는 과정에서 실수가 개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예 듣지 못할 수 있다.

  • 각 구성원들은 집단 내의 다른 모든 사람들에 대해서 저마다 고유한 평판 목록을 지니게 된다.

간접 상호성에 기반한 도덕 심리 진화

  • 평판에 기반한 간접상호성은 나와 무관한 제삼자에 대한 도덕 심리를 진화시켰다.

  • 우리는 나와 무관한 사기꾼에 대해서도 도덕적으로 분노한다.

  • 황금률 : 만약 내가 오늘 누군가에게 선행을 베푼다면, 다른 누군가가 훗날 나에게 선행을 베풀 것이다.

  • 황금률 뿐만 아니라 여러 명언, 성경에서도 간접 상호성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대가없이 누군가를 도우려 할 때, 내 선행이 평판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 신경 쓰는 것처럼 진화했을 것이다. 평판을 관리하는 심리적 적응은 누군가 나를 지켜본다는 상황적 단서가 있으면 내가 협력과 배신 가운데 협력을 택할 가능성을 더 높여줄 것이다.
ex) 주시하는 눈 현상. 무인으로 커피값을 집어넣는 지불함이 있을 때 눈 그림이 있다면 더 커피값을 많이 지불한다.

  • 인간은 누구에게나 어떠한 대가도 바라지 않고 따뜻한 정을 베푸는 무조건적인 협력자로 진화하지는 않았다는 점을 기억하자.

직접/간접 상호성에 기반한 조건적 협력 전략 요약

  1. 남들이 협력하면, 나도 협력한다. 남들이 다 협력하는데, 나는 협력하지 않으면 개체군 내의 다른 사람들 눈에 내가 무임승차자로 인식되어 내가 파트너로 선택받지 못하게 된다.

  2. 남들이 협력하지 않으면, 나도 협력하지 않는다. 상호성에 기반하여 남들이 배신하면 나도 단호하게 배신해야 한다. 그래야 계속 착취당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11.2 협력의 요리법

  • 실생활에서 협력을 증진하는 방안
  1. 사회적 관찰 가능성을 높여라
  • 간접 상호성 이론에 따라 관찰 가능성을 높임에 따라 평판에 끼칠 영향을 고려해 협력을 택할 가능성이 커진다.
  • 관찰 가능성이 떨어지면 내가 협력 대신 배신을 선택하더라도 내 평판이 하락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무임승차를 선택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 행동의 관찰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
    1. 협력과 배신 중 고민하는 사람을 다른 사람들이 지켜보는 것. ex) CCTV
    2. 고민하는 시점에서 협력을 택하면 그 사람의 행동을 알려지도록 하는 것. ex) 투표 인증샷 이벤트
  1. 대세는 협력임을 알려라. = 다른 사람들은 이미 협력하고 있음을 알려라.
  • 다른 사람들이 협력하고 있기에 배신을 택하더라도 큰 이득을 보지 못하는 상황을 암시한다.
  • 대세가 협력임을 알리면 대세를 따라 협력한다.
    • ex) 팁 넣는 통을 투명한 통으로 사용해 협력을 함을 보이는 것
  • 뒤집어 말하면 대세가 배신이라면 이를 굳이 알릴 필요 없다.
  1. 공익 증진에 참여해달라는 요청을 자연스럽게 피할 기회를 주지 마라.
  • 모금 활동을 하는 경우
    • 상당수의 사람은 다른 곳을 보거나 전화하는 척을 하는 등 피하는 경우가 있다.
    • 명시적으로 돕기 싫다고 대꾸한다면 내 평판이 추락할 것이다.
    • 하지만 몰랐다는 식으로 자연스럽게 피한다면 평판이 추락할 가능성이 떨어질 것이다.
    • 때문에 자연스럽게 피할 기회를 주면 안 된다.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기본 25달러 기부금. 안 내거나 적게 내고 싶은 경우 이를 입구에서 밝혀야 한다.

Summary

  • 평판에 기반한 간접 상호성은 “내가 널 도와줄게, 다른 누군가는 나를 도와주겠지”라고 말한다.
  • 인간은 상호성에 기반한 조건적인 협력자로 진화했다.
  • 주시하는 눈 현상 - 누군가 자신을 지켜본다는 상황적 단서가 있다면 협력적 행동이 증가한다.
  • 실생활에서 협력을 증진하는 요령
    1. 관찰 가능성 높이기
    2. 대세가 협력임을 알리기
    3. 요청을 피할 기회를 주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