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c {:toc}

Notice

Computer Networks 글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전중환 교수님의 [진화와 인간 본성 GED1119]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7.1 남성의 장기적 배우자 선호

남녀 모두 외부 환경에서 자원을 획득해 자식에게 투자하나, 오직 여성만이 자식에게 생리적으로 투자한다.

  • 남성들은 여성을 선택할 때 상대의 건강, 젊음, 번식 가치를 알려주는 신체적 단서를 여성보다 중시한다. = 젊음과 신체적 매력을 더 중시한다.

  • 부성 불확실성 :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이 정말 유전적 친자식인지 남성은 확인할 수 없다.

    • 때문에 남성은 나에게 성적으로 충실할 지를 중시한다.
  • 생식력 : 한 번의 성관계로 자식을 낳을 확률

  • 번식 가치 : 죽을 때까지 기대할 수 있는 자식 수의 총합

    • 남녀 모두 번식이 가능해지는 10대 중후반에 최대가 되고 나이가 들면서 감소한다.
  • 젊음 = 높은 생식력과 번식 가치

  • 따라서 남성은 젊은 여성을 선호한다.

남성의 매력적인 여성 평가

전통적인 사회과학

  • 미의 판단 기준은 완전히 임의적이다. 문화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다.

  • 미의 기준이 순전히 외부로부터 학습된 결과라고 본다.

  • 이런 관점이 맞는가? 아니다.

    • 전통적인 관점이 맞다면 미의 기준은 나라별로 다를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진화적 관점

  • : 현재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매력적, 긍정적이라 여기고 배우자로 삼은 사람이 더 많은 유전적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아름답다고 여기도록 진화한 것이다.

  • 깨끗한 피부, 활기찬 걸음걸이를 가진 사람은 생식력과 번식 가치가 높을 가능성이 컸기에 아름답다고 여기게 된 것이다.

  • 즉, 미의 판단 기준은 과거 진화적 환경에서 대상을 평가하는 사람의 번식성공도를 증가시키는 외부적 단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한 심리적 적응에서 유래한다.

  • 미의 판단 기준이 자연 선택에 의해 만들어진 심리적 적응임을 보여주는 증거

    • 생후 2개월 밖에 안 되는 어린 아기들 매럭적이고 수수한 얼굴 제시하면 더 오래 쳐다 본다.
  • 얼굴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

  1. 평균성 - 평균적인 얼굴이 매력적으로 평가된다. 개체군 중심 경향은 자연 선택에 의해 만들어진 최적 설계를 반영하기 때문에 평균적인 얼굴이 매력적으로 보인다.

  2. 성적 이형성 남성은 테스토스테론, 여성은 에스트로겐이라는 성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데 성호르몬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증가시킨다. 성호르몬은 중요한 신체 기능에 들어갈 자원을 끌어다 쓰는 비싼 호르몬이기 때문에 생존의 측면에서는 해롭다. 때문에 우수한 유전적 자질을 지닌 사람이 성호르몬을 감당할 수 있기에 남성스러움, 여성스러움은 우수한 유전자를 지녔음을 알려주는 단서가 된다.

  • 남성의 경우 이런 여성성을 지닌 사람을 더 선호한다.

  • 여성의 경우

  • 하지만, 여성에게 남성적인 얼굴, 평균적인 남성 얼굴을 보여주고 누가 신랑감으로 가장 매력적인지에 대해 설문했을 때 남성적인 남성 얼굴이 일등으로 뽑히지 않았다.

  • 이유는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효과가 양면적이기 때문이다.

    •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이 많은 남성 높은 사회적 지위를 차지한다.
    • 반면, 여러 여성과의 성관계, 폭력적, 차가운 성격, 비협조적이기 쉽다.
    • 우수한 유전자만을 염두에 둔다면 아버지로서의 투자를 상당 부분 포기할 수 밖에 없다.
    • 때문에 여성은 타협점을 찾아야 하므로 남성적인 남성을 고르는 여성이 드물어진다.
  • 여성의 일시적 성관계 선호도는 배란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 여성은 가능하다면 우수한 유전자, 좋은 아빠를 얻으려 한다.

  • 일시적 성관계 우수한 유전자만 얻을 수 있다.

  • 우수한 유전자 물려주는 잠재적 이득은 가임기간일 때만 기대할 수 있으므로 가임기에는 남성적인 얼굴을 더 선호한다.

    • 비가임기 - 상대적으로 여성적인 얼굴 선호
    • 가임기 - 남성적인 얼굴 선호
  • 남자다운 체형에 대한 선호도 동일하다.

  • 몸의 아름다움 - 번식능력을 알려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 체지방 = 에너지 저장고 이므로 기근, 질병 시에 체지방 많은 사람이 생존 가능성이 더 높다.

    • 기근이 잦은 나라 - 통통하고 체지방이 많은 여성 선호
    • 기근이 적은 나라 - 마른 체형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선호
  • 결혼 후 성적 충실성 남성은 여성보다 더 중시한다.

  • 부성 불확실성 때문에 여성이 자신에게 성적으로 충실하길 원한다.

  • 결혼 전 얼마나 성적으로 개방적이었는가 = 바람 안 피고 성적으로 충실할지 보여주는 단서

7.3 남녀의 단기적 짝짓기

  • 단기적 짝짓기에서는 의무 부모 투자량의 성차가 크게 난다.

  • 남성 - 여러 여성과 성관계하려 한다.

  • 여성 - 신중하게 남성을 고르는 현상이 더 뚜렷하다.

  • 남성에게 최선의 전략 - 양면작전

  • 한 여성과 결혼해 오랜 기간 그 자식들에게 투자하며 기회가 되면 다른 여성과도 일시적 성관계를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 자연주의적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 단기적 짝짓기도 시도했음을 보이는 증거

  1. 처음 만난 이성 성적 제안을 수락할 가능성 - 남자 75%, 여자 0%
  2. 되도록 다양한 성관계 상대를 얻고자 하는 욕망 -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높다.
  3. 친구로 알고 지내온 이성과 성관계에 동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남녀 차이 - 모든 기간에서 남성이 성관계에 동의할 가능성이 여성보다 높다.
  4. 단기적 짝짓기 상대를 고를 때 남성은 대다수 부문에서 요구수준을 크게 낮추는 경향이 있다.
  5. 쿨리지 효과 - 한 상대와 여러 번 반복적으로 성관계 후 새로운 상대를 만나면 더 빠르게 성적 동기가 부여되고 흥분되는 현상 남성에게 나타난다.
  • 우수한 유전자를 얻기 위한 혼외정사 이론

Summary

  • 조상 남성 - 장기적 배우자를 고를 때 중시
  1. 젊음
  2. 신체적 매력
  3. 성적 충설성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적응에 달려있다.
남녀 모두 상황에 따라 단기적 짝짓기 전략을 구사하도록 진화했다.

연결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