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c {:toc}

Notice

Computer Networks 글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전중환 교수님의 [진화와 인간 본성 GED1119]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3.1 혐오: 병원체를 회피하기

  • 혐오 : 무언가를 강력히 거부하는 정서

  • 기쁨, 두려움, 슬픔, 분노, 놀람, 혐오는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로 간주되고 각각 고유한 표정을 짓게 만든다.

  • 혐오감의 표정은 혐오스러움을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는 사회적 신호가 된다.

  • 또한, 신체 내부로 들어오려 하거나 이미 들어온 오염 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 ‘우웩’ 하는 것과 같이.

  • 다윈 혐오라는 감정이 ‘고약함’, 음식이 고약하다고 표현할 때의 고약함에서 유래됐다고 주장했다. 불쾌한 맛의 물질을 입에 넣었을 때 일어나는 거부 반응에서 혐오감이 유래했다는 것이다.

  • 고약함은 유독한 음식을 입에 넣는 것을 피하도록 해주는 적응적 기능을 갖는다.

  • 혐오감은 표정 뿐만 아니라 여러 생리적, 행동적 반응(느린 심장 박동, 낮아지는 혈압, 구역질, 뒤로 물러남 등)도 만든다.

  • 고약함은 불쾌한 맛에 대해 느끼는 감정인 데 비해 혐오감은 음식 뿐만 아니라 사람, 사물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 사물에 혐오감을 느끼는 것일까?

혐오를 일으키는 자극

  • 신체의 분비물 - 대소변, 구토물, 성적인 체액, 침, 점액

  • 상한 음식이나 더러운 음식, 혹은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음식

  • 바퀴벌레, 벼룩, 벌레, 이, 파리, 쥐, 달팽이 등 일부 동물

  • 쓰레기나 먼지가 뭉친 것처럼 더럽거나 비위생적인 사물

  • 신체의 경계면이 붕괴해 신체 안이 노출되는 것

  • 아픈 사람들, 시체, 혹은 우리 집단이 아니라 외부 집단 사람들

  • 비정상적인 걸음걸이나 자세, 변색한 피부, 병원체에 감염된 흔적

  • 공중보건학자 발레리 커티스는 병원체를 옮기는 요인들의 목록이 혐오를 일으키는 요인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 혐오는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같은 전염성 병원체에 우리가 감염되는 것을 막도록 진화된 심리적 적응이다.

혐오가 병원체를 피하게 하기 위한 적응이라는 이론의 증거

  1. 혐오 유발 물질은 모두 우리에게 전염병을 퍼뜨리는 매개체이다.
  • 대변 - 콜레라, 장티푸스, 로타바이러스 등 소화계 질환

  • 콧물 - 결핵, 인플루엔자, 홍역, 폐렴 등

  • 쥐 - 유행성 출혈열, 라사열 병원체 등

  • 다음과 같은 매개체를 혐오한 조상이 이런 전염병에 안 걸리는 이득을 누렸을 것이다.

  • 폴 로진 - 혐오의 심리는 공감 주술의 두 법칙(전염의 법칙과 유사성의 법칙)을 따른다고 말했다.

    • 전염의 법칙 : 어떤 사물이 혐오스러운 사물에 조금이라도 닿기만 하면 그 사물 전체가 모두 오염된다고 믿는 것 사물 전체를 버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 식물 독소는 절대량을 얼마나 섭취했는가에 따라 몸에 미치는 피해가 달라진다. 극소량은 괜찮다.
      • 하지만 미생물 병원체는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순식간에 증식해서 생명체 전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 때문에 내 몸 안에 못 들어오도록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고, 이점이 혐오가 병원체를 피하기 위한 적응이라는 이론의 증거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 유사성의 법칙 : 어떤 사물이 혐오스러운 사물을 조금 닮기만 해도 이미 그 사물도 오염되었다고 여기는 것 조금이라도 닮으면 경계하도록 마음이 진화
      • 배설물을 닮은 초콜릿, 변기를 닮은 식기 그릇 등
  1. 성별과 연령에 따른 혐오 정서의 강도 변화
  • 혐오가 전염병을 피하기 위한 심리적 적응이라면 남성보다 여성들이 혐오감을 더 잘 느낄 것이다.
  • 남성들은 생존, 건강을 일정 부분 희생하면서까지 번식성공도를 높이려 하는 반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생존과 번식을 중시하는 정도가 덜하기 때문이다.
  • 남성은 혐오 감수성이 여성보다 낮다.
  • 인간은 나이가 들수록 질병에 걸렸을 때 감수해야 하는 진화적 비용이 줄기 때문에 혐오감수성도 나이가 들수록 낮아진다.
  1. 다른 적응적 문제가 더 시급한 상황에서는 혐오 반응이 일시적으로 억제된다.
  • 음식 섭취, 수분 섭취가 전염병을 피하는 것 보다 더 중요한 상황인 경우
    • 전염병에 걸릴 가능성이 좀 커지더라도 음식을 먹는 것이 더 중요하다.
    • 즉,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가 두 적응적 문제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문제를 억제하고 다른 적응적 문제를 시급하게 해결하도록 혐오 정서를 낮췄을 것이다.
  1. 질병을 옮길 가능성이 큰 자극과, 다른 면에서는 모두 유사하지만 질병을 옮길 가능성이 적은 자극 두 개를 사람들에게 보여주면 사람들은 전자를 더 혐오한다.
  • 시퍼런 액체가 묻은 수건과 누런 액체가 묻은 수건을 보여줬을 때 누런 액체가 묻은 수건을 더 혐오스럽다고 답한다.

13.2 비만: 기아에 살아남는 적응과 현대 환경의 불일치

  • 비만은 오늘날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건강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 비만인 사람은 만성적인 건강 문제로 시달릴 가능성이 정상 체중을 지닌 사람보다 50% 더 높다.

  • 비만의 궁극 설명은 무엇일까?

  • 진화의 관점에서 다음의 근본적인 질문을 확인해보자.

    • 왜 인간은 쉽게 살이 찌는가?
    • 인간은 지방을 저장하도록 적응되어 있다면서 왜 비만이면 여러 가지 질병에 잘 걸릴까?
  • 인간은 활동을 할 때마다 에너지를 사용한다. 때문에 에너지가 바닥나지 않도록 에너지를 미리 저장해 놓았다가 필요할 때 에너지를 사용한다.

  • 하지만, 에너지 섭취와 소비를 조절하는 통제 장치는 일정 범위 내에서만 작동한다.

  • 즉, 엄청나게 공급되는 잉여에너지에 잘 대처하도록 적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만과 질병에 걸리는 것이다.

  1. 과거 조상
  • 과거 조상들의 활동량은 6~16km를 매일 걸어다니는 것과 같이 매우 높았다.
  • 또한, 조상은 잡식 동물이었고, 굶주려 죽는 사태를 피하기 위해 열량이 낮은 다양한 음식들을 먹었다. 조상이 먹은 과일과 야채는 섬유소가 많고 당도도 높지 않았다.
  • 조상들은 자주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체지방을 비축하는 것이 중요했다.
  • 더불어 열량이 부족하면 배고픔을 느끼고 음식 섭취에 노력을 기울인다.
  • 결론적으로, 비만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신체 체계는 기아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신체 체계보다 훨씬 더 미약하다.
  1. 농업 혁명
  • 1만여 년 전, 농업 혁명이 시작됐고, 농작물 재배, 가축을 기르기 시작했다.
  • 농업을 통해 수렵-채집 시절보다 더 많은 양의 음식물을 먹었으나, 음식물의 가짓수는 매우 줄어들었다.
  1. 산업 혁명
  • 수렵-채집 환경에서 매우 구하기 어려웠던 꿀, 고기 같은 에너지원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변했다.

  • 현재 과일과 야채, 가축화된 동물은 품종개량, 인위적 선택 등을 통해 높은 에너지원으로 변했다.

  • 결론적으로 오늘날 비만이라는 문제는 기아에 잘 대처하도록 설계된 우리 몸과 마음이 새로운 현대 산업 사회 환경과 만나서 빚는 불일치 때문이다.

13.3 비만 문제에 대한 진화적 해법

  1.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는 방안
  • 몸과 마음에 대해 더 합리적인, 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결정을 내리도록 올바른 건강 교육을 제공한다.
  • 하지만, 올바른 정보 제공과 계몽만으로는 전면적이고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촉발시키지 못한다.
  • 현대 환경에서 건강에 도움되는 음식을 택하도록 인도하는 ‘몸의 지혜’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1. 건강을 개선하도록 환경을 바꾸는 방안
  • 인간의 몸은 수렵-채집 환경조건에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환경을 변화시키는 방안이다.
  • 예시
    • 술, 담배에 과세하듯 정크 푸드나 탄산음료에 세금을 매기는 정책
    • 엘리베이터를 줄이고 계단을 더 사용하도록 건물 설계

Summary

  •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는 왜 비만에 걸리도록 ‘설계’되었는지 설명해준다.
  • 열량이 높은 음식이 넘치고, 실내에 앉아있고, 수면이 부족한 생활에 우리는 적응되지 않았다.
  • 우리가 물려받은 몸을 그것이 진화한 방식에 최대한 가깝게 이용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참고문헌

연결문서